본문 바로가기
CS_정리 & 정보처리기사 💾

[정보처리기사] 2020_09_26 (4회)_4과목

by 개발하는윤기사 2023. 4. 16.
728x90
반응형

 

4과목 :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61. UNIX SHELL 환경 변수를 출력하는 명령어가 아닌 것은?     

① configenv

② printenv     

③ env

④ setenv

 

🍎

1. configenv : 파이썬에서 사용, json 등

2. printenv : 환경 변수의 값을 출력하는 명령어

3. env : 환경 변수 보기 및 변경

4. setenv : 환경 변수 추가 또는 업데이트

 

 


62. Java 프로그래밍 언어의 정수 데이터 타입 중 'long'의 크기는?     

① 1byte

② 2byte     

③ 4byte

④ 8byte

 

🍎

1. 'short' = 2 Byte

2. 'int' = 4 Byte

3. 'long' = 8 Byte

 


63. Java에서 사용되는 출력 함수가 아닌 것은?     

① System.out.print( )

② System.out.println( )     

③ System.out.printing( )

④ System.out.printf( )

 


64. 운영체제에서 커널의 기능이 아닌 것은?     

① 프로세스 생성, 종료

② 사용자 인터페이스     

③ 기억 장치 할당, 회수

④ 파일 시스템 관리

 

🍎

[커널(kernel)] : 프로세스(CPU스케줄링) 관리, 기억장치 관리, 파일관리, 입출력 관리, 프로세스 간 통신, 데이터 전송 및 변환 등 

[쉘(shell)] : 시스템과 사용자간의 인터페이스 담당, 명령어 해석기

 


65. OSI 7계층에서 단말기 사이에 오류 수정과 흐름제어를 수행하여 신뢰성 있고 명확한 데이터를 전달하는 계층은?     

① 전송 계층

② 응용 계층     

③ 세션 계층

④ 표현 계층

 

🍎

*응용 계층 : 최종 사용자가 실제로 상호 작용하는 계층. 네트워크 리소스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

*세션 계층 : 컴퓨터 간의 세션을 설정, 관리 및 종료하여 적절 한 통신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

*표현 계층 : 데이터로 작동하는 계층. 주요 기능은 "데이터 변환, 암호화 및 압축",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응용 계층과 상호 작용하여 데이터를 표현 계층으로 보냄.

 


66. 다음 쉘 스크립트의 의미로 옳은 것은?

① wow 사용자가 로그인한 경우에만 반복문을 수행한다.     

② wow 사용자가 로그인할 때까지 반복문을 수행한다.     

③ wow 문자열을 복사한다.     

④ wow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무한 반복하여 출력한다.

 

🍎

who 명령어는 현재 시스템에 로그인한 유저의 목록을 보여 준다.

|(파이프)는 앞의 who 명령어의 출력 결과를 뒤의 grep 명령어로 전달한다.

grep 명령어는 who 명령문의 결과 중 wow 유저가 로그인하면 그 결과를 필터링하여 출력한다.

sleep 명령문 뒤의 숫자(초)만큼 잠시 수행을 대기한다.

 

 


67. 다음 자바 코드를 실행한 결과는?

① x=7 y=0     

② x=6 y=-1     

③ x=7 y=-1     

④ Unresolved compilation problem 오류 발생

 

🍎

자바에서 while 문은 조건 식의 결과 값이 Bool 타입이어야 한다. y--는 int이므로 오류가 발생한다.

 


68. 다음 파이썬으로 구현된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로 옳은 것은?

① [20, 60]

② [60, 20]

③ [0, 20, 40, 60]

④ [10, 30, 50, 70]

 

🍎

a[시작점 : 끝점 : 넘어가는 수] 이렇게 생각하시면 된다.

a[:7:2]이면, a[0]~a[6]까지의 값 [0,10,20,30,40,50,60]이고, 

이를 2칸씩 넘어가라 했으니 a[0]부터 시작해서 [0,20,40,60]이 나오게 된다!!

 

 


69. 공통모듈의 재사용 범위에 따른 분류가 아닌 것은?     

① 컴포넌트 재사용

② 더미코드 재사용     

③ 함수와 객체 재사용

④ 애플리케이션 재사용

 

🍎 더미코드

- 호출 시 로직 없이 응답만 수행하는 모듈

- 단위 테스트 시 아직 미개발 된 모듈을 대체하기 위해 사용

 


70. 다음과 같은 프로세스가 차례로 큐에 도착하였을 때, SJF(Shortest Job First) 정책을 사용할 경우 가장 먼저 처리되는 작업은?

① P1

② P2     

③ P3

④ P4

 

🍎

SJF : 작업이 끝나기까지의 실행 시간 추정치가 가장 작은 작업을 먼저 실행시키는 방식

 


71. 4개의 페이지를 수용할 수 있는 주 기억장치가 있으며, 초기에는 모두 비어 있다고 가정한다. 다음의 순서로 페이지 참조가 발생할 때, FIFO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을 사용할 경우 페이지 결함의 발생 횟수는?         

① 6회

② 7회    

③ 8회

④ 9회

 

🍎

1  -> 1 2 -> 1 2 3  -> / (1)  -> / (2)  -> 1 2 3 4  -> 5 2 3 4  -> 5 1 3 4

총 6회의 페이지 결함이 발생한다!

 


72. TCP 흐름제어기법 중 프레임이 손실되었을 때, 손실된 프레임 1개를 전송하고 수신자의 응답을 기다리는 방식으로 한 번에 프레임 1개만 전송할 수 있는 기법은?    

① Slow Start

② Sliding Window     

③ Stop and Wait

④ Congestion Avoidance

 

🍎

① Slow Start: 패킷이 문제없이 도착하면 혼잡 윈도우 크기를 패킷마다 1씩 증가시켜 한 주기가 지나면 혼잡 윈도우 크기가 2배로 되지만, 혼잡 현상 발생 시 혼잡 윈도우 크기를 1로 줄여버리는 방식이다.

② Sliding Window: 한 번에 여러 패킷(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어 전송 효율이 좋은 기법

③ Stop and Wait : 수신 측으로부터 이전에 송신한 패킷에 대한 긍정 수신 응답(ACK)이 전달된 경우 윈도우 크기는 증가하고, 수신 측으로부터 이전에 송신한 패킷에 대한 부정 수신 응답(NAK)이 전달된 경우 윈도우 크기는 감소한다.

④ Congestion Avoidance(혼잡 방지, Congestion Control): 네트워크 내에서 패킷의 지연이 너무 높아지게 되어 트래픽이 붕괴되지 않도록 패킷의 흐름을 제어하는 트래픽 제어 (종류: AMID, Slow Start)

 


73. 결합도(Coupling)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데이터 결합도(Data Coupling)는 두 모듈이 매개변수로 자료를 전달할 때, 자료구조 형태로 전달되어 이용될 때 데이터가 결합되어 있다고 한다.     

② 내용 결합도(Content Coupling)는 하나의 모듈이 직접적으로 다른 모듈의 내용을 참조할 때 두 모듈은 내용적으로 결합되어 있다고 한다.     

③ 공통 결합도(Common Coupling)는 두 모듈이 동일한 전역 데이터를 접근한다면 공통결합 되어 있다고 한다.     

④ 결합도(Coupling)는 두 모듈간의 상호작용, 또는 의존도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 스탬프 결합도 -> 1번은 데이터 결합도가 아닌 스탬프 결합도에 관한 설명이다.

- 두 모듈이 매개변수로 자료를 전달할 때, 자료구조 형태로 전달되어 이용될 때 데이터가 결합되어 있다고 한다.

- 두 모듈이 동일한 자료 구조를 조회함

[자료(데이터) 결합도(data coupling]

어떤 모듈이 다른 모듈을 호출하면서 매개변수나 인수를 넘겨주고, 호출받은 모듈은 받은 데이터에 대한 처리결과를 다시 돌려주는 방식

 


74. 응집도의 종류 중 서로 간에 어떠한 의미 있는 연관관계도 지니지 않은 기능 요소로 구성되는 경우이며, 서로 다른 상위 모듈에 의해 호출되어 처리상의 연관성이 없는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의 응집도는?     

① Functional Cohesion

② Sequential Cohesion     

③ Logical Cohesion

④ Coincidental Cohesion

 

🍎 응집도 : 하나의 모듈이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요소들간의 연관성 척도, 독립적인 모듈이 되기 위해서는 응집도가 강해야 한다.(결합도는 약해야 한다.)

  [ 응집도 순서 (강함 -> 약함) ]

1. 기능적 응집도(Functional Cohesion) : 모듈 내 모든 요소들이 단일 기능을 수행

2. 순차적 응집도(Sequential Cohesion) : 모듈 내의 한 요소 의 출력 자료가 다음 요소의 입력 자료로 사용

3. 교환적 응집도(Communication Cohesion) : 모듈 내의 요소들이 동일한 입출력 자료로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

4. 절차적 응집도(Procedural Cohesion) : 모듈 수행 요소들이 반드시 특정 순서대로 수행

5. 시간적 응집도(Temporal Cohesion) : 특정 시간에 실행되는 기능들을 모아 작성된 모듈

6. 논리적 응집도(Logical Cohesion) : 논리적으로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지만 서로의 관계는 밀접하지 않음

7. 우연적 응집도(Coincidental Cohesion) : 모듈 내 요소들이 뚜렷한 관계가 없이 존재, 어떠한 의미 있는 연관 관계도 지니지 않은 기능 요소로 구성되고 서로 다른 상위 모듈에 의해 호출되어 처리상의 연관성이 없는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75. 자바에서 사용하는 접근제어자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internal

② private     

③ default

④ public

 

🍎

public : 모든 접근을 허용

protected : 같은 패키지(폴더)에 있는 객체와 상속관계의 객체들만 허용

default : 같은 패키지(폴더)에 있는 객체들만 허용

private : 현재 객체 내에서만 허용

 

 


76. UDP 특성에 해당되는 것은?     

① 데이터 전송 후, ACK를 받는다.     

② 송신 중에 링크를 유지 관리하므로 신뢰성이 높다.     

③ 흐름제어나 순서제어가 없어 전송속도가 빠르다.     

④ 제어를 위한 오버헤드가 크다.

 

🍎 신뢰성이 높다는 내용은 TCP에 해당된다!

[UDP (User Datagram Protocol)]

- TCP/IP의 전송계층 프로토콜

- 비연결성 서비스 제공

- 단순한 헤더구조로 오버헤드 적음

- 사용하는 경우 : 빠른속도로 전송 요구 시, 동시에 여러 사용자에게 데이터 전달 시, 반복적 전송

- 실시간 전송에 유리, 신뢰성보다는 속도가 중요시되는 네트워크에 사용

 


77. 다음과 같은 세그먼트 테이블을 가지는 시스템에서 논리 주소(2, 176)에 대한 물리 주소는?

① 398

② 400     

③ 1928

④ 1930

 

🍎

논리주소 = (세그먼트번호, 변위값)

물리주소 = '세그먼트 시작주소+ 변위값'

논리주소(2,176)에서

세그먼트번호: 2 , 변위값: 176

세그먼트번호 시작주소 길이
2 222 198

물리주소 = 세그먼트 시작주소 + 변위값 = 222 + 176   =398

 


78. TCP/IP에서 사용되는 논리주소를 물리주소로 변환시켜 주는 프로토콜은?     

① TCP

② ARP     

③ FTP

④ IP

 

🍎

- IP(인터넷 프로토콜) : 데이터 주소를 지정하고 경로 설정

- ICMP(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 : IP와 조합하여 통신 중의 오류처리와 전송 경로 변경등을 위한 제어 메시지 관리

- IGMP(인터넷 그룹 관리 프로토콜) : 멀티캐스트를 지원하는 호스트나 라우터 사이에서 멀티캐스트 그룹유지를 위해 사용

- ARP(주소 결정 프로토콜) : 호스트의 IP주소를 네트워크 접속 장치의 물리적 주소로 변환

★ - RARP : ARP 반대 (물리적 주소를 IP 주소로 변환)

 


79. C언어에서 구조체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때 사용하는 것은?     

① for

② scanf     

③ struct

④ abstract

 

🍎

for : 반복문

scanf : 값을 입력받음

abstract : 자식 클래스가 추상 메소드를 무조건 구현하도록 함

 


80. PHP에서 사용 가능한 연산자가 아닌 것은?     

① @

② #     

③ <>

④ ===

 

🍎

@ : 에러 제어 연산자

< >: 관계 연산자

=== : 관계 연산자

 

728x90
반응형